반응형
커널 빌드 방법
$ source /opt/pkg/petalinux_19_01/setings.sh (enter) -> petalinux
$ petalinux-build -c kernel (enter)
|
아래와 같이 외부 소스를 쓰는 경우는 dts 변경이나 커널 변경을 하고 관리 하고 싶을 경우
를 대비해서 설정하게 되었다.
외부 커널 소스 설정 방법
$ mkdir ./xilinx_kernel_src
$ cd ./xilinx_kernel_src
$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Xilinx/linux-xlnx
$ cd (PROJECT_BSP)
$ petalinux-config
|
-
"Linux Components Selection" 선택
-
"linux-kernel (linux-xlnx)" 선택
-
ext-local-src 선택
-
"External linux-kernel local source settings--->" 선택
-
커널 소스 위치 지정(절대경로)
커널 변경 전에 빌드한 적이 있다면 tmp 폴더를 클리어해 주어야 한다.
$ petalinux-build -x mrproper (enter)
$ petalinux-build -c kernel (enter)
|
참고사항
외부 소스 설정 내용
UG1144 문서에서 External Kernel 로 검색하면 나오는 방법 진행 (105페이지)
원래 Build 되는 Kernel 이 생성되는 위치는 tmp 위치에 생성이 됩니다.
소스의 위치는
<PROJECT_PATH>/build/tmp/work-shared/zeboard-zynq7/kernel-source
이며, 이 소스 위치를 링크하여 이미지가 생성되는 위치는
<PROJECT_PATH>/build/tmp/work/zedboard_zynq7-xilinx-linux-gnueabi/linux-xlnx/4.19-xilinx-v2019.1+gitAUTOINc+....../linux-zedboard_aynq7-standard-build/source
에 링크가 되고 상위에 빌드된 이미지들이 생성된다.
이 내용이 외부 커널 소스로 사용 시
커널을 빌드하고 외부에서 드라이버 빌드시 커널 소스 위치 패스(KIDR) 을 아래와 같이 지정했다.
(PROJECT_PATH)/build/tmp/work/zedboard_zynq7-xilinx-linux-gnueabi/linux-xlnx/4.19-xilinx-v2019.1+git999-r0/linux-xlnx-4.19-xilinx-v2019.1+git999
-> 수정
원래 외부 커널 소스 위치를 사용해도 된다.
다만 커널을 다 빌드 하여야 하므로 페타리죽스에서
$petalinux-build
명령으로 빌드가 된 상태여야 드라이버 개발이 가능하다.
반응형
'Development > Xilin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ZYNQ] Petalinux Kernel 드라이버 외부 빌드 방법 (0) | 2019.11.21 |
---|---|
[ZYNQ] PetaLinux QT 개발환경 설정 (6) | 2019.11.21 |
[ZYNQ] Petalinux Kernel 소스 유지 하기 (0) | 2019.11.20 |
[ZYNQ] ZYNQ FW 개발 환경 구성 (Vivado 제외) (0) | 2019.11.18 |
HostApd 컴파일 및 설정 방법 (Xilinx) (0) | 2019.11.11 |
댓글